
🏃 parkrun, 영국의 주말 문화영국의 토요일 아침은 조금 특별합니다. 바로 parkrun이라는 달리기 모임때문 인데요. parkrun은 2004년 런던 부시 파크(Bushy Park)에서러너 폴 싱턴-휴잇(Paul Sinton-Hewitt)이 친구 13명과 시작한 작은 모임에서 출발했어요.지금은 영국을 넘어 전 세계 20여 개국, 수천 개의 공원에서 매주 토요일 오전 9시에 동시에 열리고 있어요.참가비는 무료, 거리도 5km로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습니다.참가자들은 기록 결과를 받을 수 있지만, 순위 경쟁은 없고 분위기는 늘 따뜻하고 자유로워요.그래서 parkrun은 단순한 달리기 행사라기보다는, 영국 주말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parkrun은 경쟁보다는 참여에, 기록보..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 목차판다 줄기세포, 왜 그리고 어떻게 만들어졌을까?판다 줄기세포 연구의 두 가지 핵심 응용 분야생식세포 보존 및 인공 번식: 멸종 위기 극복의 열쇠멸종된 종의 복원: 세포 보존 은행의 역할과학 기술이 지켜내는 생명의 다양성지난 글에서 우리는 과학이 잘못 사용되었을 때 어떤 비극적 결과를 낳는지, ‘유전자 편집 아기’ 사건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때의 이야기가 조금은 무겁고 우울하게 느껴지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같은 과학이지만, 전혀 다른 얼굴을 한 이야기를 들려드리고 싶네요. 바로 지구상에서 가장 사랑받는 동물 중 하나인 자이언트 판다의 보존을 위한 줄기세포 연구입니다. 본격적인 이야기 전에, 잠깐 판다의 귀여운 순간을 공유하고 ..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 목차기술의 발전과 윤리적 경계'유전자 편집 아기' 사건의 충격적인 전말과학계가 분노한 이유: 윤리적 경계의 붕괴'슈퍼 아기', 현재 아이들의 상태는?허젠쿠이 사건이 남긴 교훈: 책임 있는 과학의 길 안녕하세요, 지난 글에서 우리는 인공배아 연구가 보여주는 놀라운 가능성과 동시에 제기되는 윤리적 논쟁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과학 기술이 인간의 삶을 바꾸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만큼, 그 이면에는 언제나 깊은 성찰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점도 함께 이야기했습니다. 오늘 소개할 사건은 그 성찰이 부족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아닐 듯합니다. 2018년, 중국의 허젠쿠이(He Jiankui) 박사가 세계 최초로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