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 목차초기 인간 발달 연구의 모델발생학 연구의 새로운 장선천성 질환의 원인 규명불임 연구와 착상 메커니즘 이해난치성 불임의 핵심, 착상 연구불임 치료 기술로의 발전신약 개발 및 독성 평가 도구기형 유발 물질(Teratogen) 스크리닝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의 시작새로운 시작, 새로운 희망 안녕하세요, 지난 글에서는 인공배아를 만드는 기본 원리와 다양한 모델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제는 이 기술이 실제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응용 분야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인공배아 연구가 왜 필요할까요? 인간 배아의 초기 발달 과정은 여전히 많은 부분이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습니다. 자연 배아 연구에는 윤리적·기술적 제약이 뒤따르기 때문에,..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 목차세포에게 생명의 길을 알려주는 '내비게이션'줄기세포에게 길을 알려주다: 3차원 배양 환경의 중요성3차원 지지체(Scaffolds): 세포의 '집'부유 배양(Suspension Culture): 자유로운 자기 조직화정확한 타이밍이 생명을 만든다: 신호전달 물질의 역할Wnt, BMP, Nodal: 발생의 마스터 스위치단계적 신호 조절: 완벽한 오케스트라 지휘기술과 생명의 교차점에서세포에게 생명의 길을 알려주는 '내비게이션'안녕하세요, 지난 글에서는 줄기세포로 만들어진 인공배아 모델들, 즉 배반포 유사체와 낭배 유사체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시험관에서 도대체 어떻게 이 복잡한 ..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 목차배반포 유사체(Blastoids)와 낭배 유사체(Gastruloids)배반포 유사체: 생명의 첫 번째 설계도낭배 유사체: 몸의 기본 축을 만드는 과정오가노이드(Organoids)와 인공배아, 무엇이 다를까?오가노이드: '미니 장기'를 만드는 기술인공배아: '전체 생명체'를 모방하는 시도모델의 진화가 밝히는 생명의 신비 안녕하세요, 지난 글에서 우리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인공배아 유도 기술의 기본 원리와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자와 난자 없이도 생명체의 초기 발달 과정을 모사할 수 있는 이 기술은 발생학 연구에 혁명을 가져왔죠. 그런데 이 인공배아라는 것이 하나의 형태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연구자들은 실험 목적에 따라 서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