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목차줄기세포 연구의 새로운 융합, 오가노이드-온-어-칩의 시대오가노이드-온-어-칩 (OrgOC): 두 기술의 장점 결합오가노이드와 MPS의 통합이 가져오는 이점각 기술의 한계를 넘어선 시너지오가노이드-온-어-칩을 활용한 질병 모델링의 심화환자 맞춤형 질병 모델링의 정교함복잡한 질병 메커니즘 규명: 염증, 감염, 암신경계 질환 연구의 새 지평신약 개발 효율성 극대화: 약물 스크리닝 및 독성 평가의 진화약물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및 독성 (ADME/Tox) 스크리닝Multi-organ-Chip (Human-on-a-Chip): 전신 반응 예측고처리량 스크리닝(HTS) 및 자동화도전 과제: 기술적 한계와 임상 적용을 위한 표준화기술적 복잡성과 재현성규..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목차줄기세포 연구의 새로운 무대, Microphysiological SystemsMicrophysiological Systems (MPS)란 무엇인가?Organ-on-a-Chip (OOC): MPS의 대표 주자MPS와 오가노이드: 개념적 차이와 상호 보완성MPS, 어떻게 작동하는가? 미세유체 기술과 생체 환경 모사미세유체학(Microfluidics): 정밀한 흐름 제어동적 생체 환경 모사: 혈류, 기계적 자극, 영양분 교환실시간 센싱 및 모니터링 시스템MPS의 주요 장점: 왜 신약 개발과 질병 연구에 필수적인가?높은 인간 생리 유사성과 예측 정확도약물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및 독성 (ADME/Tox) 평가 효율성고처리량 스크리닝(HTS) 및 자동..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목차오가노이드, 생명 과학의 새로운 미니버스오가노이드란 무엇인가? 개념과 정의3D 자가 조직화(Self-organization)의 경이로움기존 2D 배양 및 동물 모델의 한계점오가노이드,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줄기세포 기반 제작 원리만능 줄기세포 (hPSCs/iPSCs)의 마법 같은 역할성체 줄기세포 (Adult Stem Cells)의 자기재생 능력3D 매트릭스, 성장인자, 분화 유도 조건의 중요성다양한 오가노이드의 세계: 우리 몸의 장기들을 재현하다뇌 오가노이드: 미니 뇌로 인간 정신을 탐구하다장 오가노이드: 소화기 질환 연구의 핵심 모델간 오가노이드: 약물 대사와 독성 평가의 새 지평그 외 다양한 오가노이드들오가노이드, 연구실에서 피어나는 생명의 ..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목차줄기세포 연구의 보이지 않는 영웅, 품질 관리줄기세포 배양의 최대 적: 미생물 오염세균 및 곰팡이 오염: 눈에 보이는 위협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숨겨진 암살자오염 방지를 위한 철저한 예방 조치줄기세포의 유전적 안정성 검증: 변이와의 전쟁핵형 분석(Karyotyping): 염색체 이상을 찾아라SNP 어레이 및 CGH 분석: 미세한 유전적 변화 포착차세대 시퀀싱(NGS): 유전체 전반의 무결성 검증만능성 및 분화 능력 검증: 줄기세포다움을 지키다만능성 마커 발현 확인: 줄기세포의 정체성 확인기형종 형성 분석(Teratoma Formation Assay): 만능성의 최종 시험체외 분화능력 검증: 다재다능함을 증명하다세포의 안전성 및 신원 ..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목차줄기세포 연구의 새로운 지평, 단일 세포 분석집단 세포 분석의 한계와 단일 세포 분석의 필요성집단 세포 분석: 평균의 함정줄기세포 이질성(Heterogeneity)의 중요성단일 세포 분석의 핵심 기술들단일 세포 RNA 시퀀싱(scRNA-seq): 유전자 발현 지도를 그리다단일 세포 단백질체 및 후성유전체 분석: 세포의 현재와 미래를 읽다단일 세포 다중 오믹스(Single-cell Multi-omics): 통합적 이해를 향해단일 세포 분석이 줄기세포 연구에 가져온 혁신세포 분화 경로 추적: 발생의 지도를 그리다질병 메커니즘 규명: 숨겨진 세포 아형을 찾아서세포 치료제 품질 관리 및 최적화: 안전하고 효과적인 줄기세포를 향해도전 과제와 미래 전망기술적..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 목차줄기세포와 유전자 가위, 운명적인 만남유전자 가위(CRISPR-Cas9)란 무엇인가?줄기세포 유전자 편집의 핵심: 왜 줄기세포인가?유전자 가위-줄기세포 융합 기술의 놀라운 활용남겨진 과제와 윤리적 고려유전자 가위와 줄기세포, 미래 의학의 청사진줄기세포와 유전자 가위, 운명적인 만남만약 줄기세포를 이용해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직접 고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상상만 해도 정말 놀라운 일입니다. 이 상상을 현실로 만든 기술이 바로 유전자 가위(CRISPR, 크리스퍼)입니다. 2012년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와 엠마뉴엘 샤르팡티에(Emmanuelle Charpentier) 박사가 CRISPR-Cas9 시스템의 원리..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목차 (Contents)줄기세포의 '변신' 능력, 어떻게 제어할까?줄기세포 분화 유도의 핵심 원리와 전략1. 세포 분화, 왜 일어나고 어떻게 조절될까?2. 줄기세포 분화 유도의 주요 방법들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세포 운명의 신호등저분자 화합물(Small Molecules): 미세한 조작으로 큰 변화를물리적 환경 요인: 세포에게 '뼈대'를 제공하다3. 특정 세포로의 분화 유도: 맞춤형 세포 만들기신경 세포로 변신: 뇌 질환 치료의 열쇠심근 세포로 변신: 심장 재생의 희망췌장 베타 세포로 변신: 당뇨병의 해답을 찾아서도전 과제와 미래: 더 정교하고 효율적인 분화를 향해분화 유도, 줄기세포 치료의 완성으로📚 참고 논문 (References)줄기세포의 '변..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목차 (Contents)생명의 씨앗을 싹 틔우는 일, 줄기세포 배양줄기세포 배양의 핵심 요소와 방법론1. 줄기세포의 보금자리: 최적의 배양 환경2. 세포 배양의 두 가지 얼굴: 2D 배양 vs. 3D 배양3. 세포의 밥상: 배지(Media)와 성장인자(Growth Factors)4. 세포의 침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도전과 혁신: 줄기세포 배양 기술의 미래배양 기술, 줄기세포 연구의 든든한 기반📚 참고 논문 (References)생명의 씨앗을 싹 틔우는 일, 줄기세포 배양지난 글들에서 줄기세포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이 세포들이 난치병 극복의 희망이자 인류 건강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중요한 존재인지 이야기..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 목차 (Contents)줄기세포 연구, 인류 건강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줄기세포 연구가 중요한 진짜 이유들1.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는 세포 치료제2. 질병의 원리를 파헤치는 질병 모델링3.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4. 생명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 증진5. 개인 맞춤형 의료의 실현도전과 미래: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빛나는 희망줄기세포 연구, 우리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참고 논문 (References)줄기세포 연구, 인류 건강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줄기세포'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아마 많은 분들이 '난치병 치료'나 '미래 의학' 같은 단어들을 떠올리실 겁니다. 줄기세포는 단순히 학문적인 호기심을 넘어, 인..

15년 차 줄기세포 연구 박사가 알려주는 줄기세포의 이해줄기세포, 21세기 생명 과학의 이해안녕하세요! 15년간 줄기세포 연구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라는 단어, 뉴스나 건강 프로그램에서 한 번쯤 들어보셨죠? 막연하게 난치병 치료의 희망, 혹은 생명의 신비와 연결되는 복잡한 과학 용어라고 생각하실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사실 줄기세포는 우리 몸을 구성하고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특별한 세포랍니다. 혹시 어릴 적, 우리 몸이 어떻게 하나의 수정란에서 시작해 이렇게 복잡하고 정교한 생명체로 자라났는지 궁금했던 적 없으신가요? 피부, 뼈, 심장, 뇌... 이 모든 장기들이 어떻게 각자의 역할을 부여받아 제자리를 찾아갔을까요? 그 경이로운 과정의 중심에 바로 줄기세포(Stem Cell)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