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5년 차 연구자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줄기세포 이야기


 

'고기 없는 고기' 시장의 뜨거운 경쟁

지난 세 편의 글을 통해 우리는 배양육의 개념과 필요성, 그리고 이를 생산하기 위한 줄기세포 배양 기술의 최적화 노력, 나아가 영양학적 가치와 안전성, 그리고 규제 동향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배양육이 '실험실의 아이디어'에서 '현실적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이 혁명적인 배양육 시장에서 어떤 기업들이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어떠한 투자와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장을 함께 들여다보겠습니다.

 

글로벌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 위기 속에서, 지속 가능한 단백질 공급원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배양육은 전통 축산업의 대안의 대안으로, 새로운 거대 시장을 창출하며 전 세계 투자자들과 기업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수많은 스타트업들이 기술 혁신에 뛰어들고 있으며, 심지어 전통적인 육가공 기업들도 이 새로운 흐름에 합류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싱가포르에서 이미 상업적 판매가 시작된 배양육은 이제 막 개화하는 산업이지만, 그 성장 잠재력은 더 클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럼 지금부터 이 흥미로운 '고기 없는 고기' 시장의 판도를 바꾸는 글로벌 선두 기업들과 대한민국 기업들의 활약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로벌 배양육 시장 동향 및 투자 현황

배양육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그 성장 속도와 투자 규모는 가히 폭발적입니다. 이는 미래 식량 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강력한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성장하는 시장 규모와 주요 동인

다수의 시장 조사 기관들은 글로벌 배양육 시장이 향후 수십 년간 연평균 2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수백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1. 이러한 성장의 주요 동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속 가능한 단백질 수요 증가: 전 세계 인구 증가는 물론, 환경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증대.
  • 기술 발전 및 비용 절감 노력: 대규모 생산 기술과 비용 효율적인 배지 개발 등 기술적 진보.
  • 규제 환경 변화: 미국, 싱가포르 등 주요 국가의 판매 승인이 시장 개척에 긍정적인 신호.
  • 소비자 수용도 증가: 특히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식품 기술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

배양육 산업은 지난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굿 푸드 인스티튜트(GFI)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포 배양 육류, 해산물, 유제품 등 세포 기반 단백질 분야의 총 투자액은 수십억 달러에 달합니다2. 이러한 투자는 주로 기술 개발, 생산 설비 확충, 그리고 상업화 준비 자금으로 활용됩니다.

  • 벤처 캐피탈(VC): 초기 단계의 혁신적인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에 공격적으로 투자하여 시장 성장을 견인합니다.
  • 대형 제약 및 식품 기업: 네슬레(Nestlé), 타이슨 푸드(Tyson Foods), JBS 등 전통적인 식품 및 육가공 대기업들도 자체적인 R&D 투자는 물론, 유망한 배양육 스타트업에 전략적으로 투자하거나 인수합병을 통해 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 정부 및 공공 펀드: 지속 가능한 식량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는 국가 및 국제 기구에서도 배양육 연구 및 개발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는 배양육이 미래 식량 산업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라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배양육 상업화를 이끄는 글로벌 선두 기업들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배양육 기업들이 치열한 기술 경쟁을 벌이며 상업화를 앞당기고 있습니다. 이들 중 몇몇 기업은 이미 규제 승인을 받거나, 대규모 생산 시설을 구축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배양육 산업 선도 기업: 투자와 혁신을 이끄는 한국 & 글로벌 리더들

 Upside Foods (미국): 미국 최초 판매 허가를 받은 리더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Upside Foods는 배양육 산업의 가장 주목받는 기업 중 하나입니다. 2015년 'Memphis Meats'라는 이름으로 시작했으며, 2023년 6월에는 굿 미트와 함께 미국 농무부(USDA)로부터 배양 닭고기 제품의 판매 및 유통 최종 승인을 받으며 미국 내 최초로 상업화의 문을 열었습니다3. 이들은 대규모 바이오리액터 기술과 무혈청 배지 개발에 집중하여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샌프란시스코 인근에 대규모 생산 시설(EPIC)을 구축하여 상업적 생산 준비를 완료했습니다.

 GOOD Meat (미국/싱가포르): 세계 최초 판매 승인 및 아시아 시장 개척

GOOD Meat은 식물성 계란 대체품으로 유명한 '잇 저스트(Eat Just)'의 자회사로, 배양육 분야에서 세계 최초의 상업적 성공을 거둔 기업입니다. 2020년 12월, 싱가포르 식품청(SFA)으로부터 배양 닭고기 제품의 판매 승인을 받아 레스토랑에서 제품을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2023년 6월에는 미국 USDA의 최종 승인도 획득하며 미국 시장에도 진출했습니다. 굿 미트는 특히 아시아 시장 진출에 적극적이며, 싱가포르에 대규모 배양육 생산 시설을 구축하여 글로벌 공급망을 확보하려 하고 있습니다4.

 Mosa Meat (네덜란드): 배양육 버거의 원조

네덜란드의 Mosa Meat은 2013년 마크 포스트(Mark Post) 교수가 세계 최초로 배양육 햄버거를 선보이며 배양육 산업의 포문을 연 기업입니다. 이들은 소 근육 줄기세포를 이용한 배양 소고기 생산기술에 집중하고 있으며, 유럽 시장의 규제 승인을 목표로 연구 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Mosa Meat은 저렴한 배지 개발과 효율적인 세포 증식 기술을 통해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주력하며, 유럽 내 배양육 상업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5.

 그 외 주목할 만한 글로벌 플레이어들

  • Aleph Farms (이스라엘):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스테이크와 같은 통육(whole-cut meat) 형태의 배양 소고기를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2023년 이스라엘에서 초기 승인을 받았습니다6.
  • Future Meat Technologies (이스라엘): 저비용 고효율 생산 플랫폼을 개발하여 생산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데 성공했으며, 하이브리드 배양육(식물성 재료와 배양육 혼합) 제품도 선보이고 있습니다.
  • CellX (중국): 중국 배양육 시장의 선두 주자로,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등 다양한 육류 배양에 도전하며 거대한 중국 시장의 잠재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 Shiok Meats (싱가포르): 배양 새우, 게, 랍스터 등 배양 해산물(Cultivated Seafood) 분야에 특화된 독특한 포지셔닝으로 아시아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배양육 기술의 역동적인 현장

글로벌 배양육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대한민국에서도 여러 스타트업들이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배양육 산업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지원과 더불어 국내 기업들의 도전은 미래 식량 산업의 중요한 축이 될 것입니다.

 씨위드 (SeaWith): 해조류 기반 배양육의 선두 주자

국내 배양육 스타트업 중 주목할 만한 기업인 씨위드(SeaWith)는 독특하게 해조류 기반의 스캐폴드(Scaffold) 기술을 활용하여 배양육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식용 가능한 해조류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3D 형태의 배양육을 만들고 있으며, 특히 소고기 배양육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7. 해조류 스캐폴드는 기존의 동물 유래 스캐폴드나 합성 스캐폴드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비용 효율적이며, 식물성이라는 점에서 배양육의 윤리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집니다. 씨위드는 2025년 상업용 시설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셀미트 (CellMEAT): 미세조류 기반 대량 생산기술

셀미트(CellMEAT)는 닭고기 배양육을 중심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는 국내 기업입니다. 이들은 특히 미세조류에서 추출한 성분을 활용한 배지 개발과 대규모 세포 배양 기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세조류는 단백질과 영양분이 풍부하여 세포 성장에 필요한 배지 성분으로 활용될 잠재력이 크며, 비용 효율적인 대량 생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8. 셀미트는 배양육의 맛과 질감 구현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며 국내외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 외 국내 유망 배양육 스타트업들

이 외에도 국내에는 다양한 배양육 스타트업들이 각자의 특화된 기술과 전략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특정 육류(예: 돼지고기, 해산물)에 집중하거나, 배지 및 스캐폴드 기술에 대한 원천 기술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배양육 상업화를 위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국내 식품 대기업 및 관련 기술 투자사들도 이러한 스타트업들에 대한 투자를 늘리며 국내 배양육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통 식품 대기업들의 전략적 참여

배양육 시장의 성장 잠재력에 주목하여, 전통적인 육가공 및 식품 대기업들도 이 분야에 대한 전략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배양육이 더 이상 '대체 식품'이 아니라, 미래 단백질 시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라는 인식을 보여줍니다.

 

글로벌 식품 대기업인 네슬레(Nestlé), 타이슨 푸드(Tyson Foods), 카길(Cargill), 그리고 세계 최대 육가공 기업인 브라질의 JBS 등은 이미 유망한 배양육 스타트업에 투자하거나, 자체적으로 세포 배양 육류 R&D 부서를 설립하여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기존의 유통망과 브랜드 인지도를 활용하여 배양육 제품의 시장 진입을 가속화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육류 산업과 배양육 산업이 상호 경쟁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발전하여, 소비자들이 더 다양한 선택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도전 과제와 미래 기회: 상업화를 위한 남은 여정

배양육 산업은 눈부신 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극복해야 할 도전 과제들이 존재합니다.

  • 생산 비용 절감: 현재 배양육의 생산 비용은 전통 육류에 비해 여전히 높습니다. 배지 비용, 생산 설비 구축 비용 등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기술 혁신이 지속되어야 합니다.
  • 스케일업 및 효율성: 실험실 수준의 생산에서 수만 톤 규모의 대량 생산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적 난제들이 남아있습니다. 대형 바이오리액터의 효율적인 운영, 자동화 공정 최적화 등이 요구됩니다.
  • 소비자 수용도: 안전성 및 영양 정보에 대한 정확하고 투명한 소통을 통해 소비자들의 막연한 우려를 해소하고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규제 환경의 불확실성: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규제 프레임워크가 아직 부재하며, 각국별 승인 절차와 기준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업화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이러한 도전 과제들은 동시에 엄청난 기회를 의미합니다. 기술 혁신을 통해 비용과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고, 규제 기관 및 소비자 신뢰를 확보한다면 배양육은 미래 식량 시스템의 핵심 플레이어가 될 것입니다. 특히 AI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생산 공정 최적화,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통한 다양한 제품 형태 구현 등은 배양육 산업의 미래를 더욱 밝게 만들고 있습니다.


배양육 기업들, 지속 가능한 식량 시스템을 위한 혁신 경쟁

줄기세포 기술을 기반으로 탄생한 배양육 산업은 인류의 식량 생산 방식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Upside Foods, GOOD Meat, Mosa Meat과 같은 글로벌 리더들은 물론, 씨위드, 셀미트와 같은 대한민국 기업들까지, 수많은 혁신가들이 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며 투자와 기술 개발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들은 환경 문제 해결, 동물 복지 향상, 그리고 안정적인 식량 공급이라는 인류의 거대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지만, 배양육 산업의 빠른 성장 속도와 거대한 투자 규모는 이 분야의 밝은 미래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전통 식품 기업들의 참여는 이 기술이 주류 시장으로 진입할 잠재력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배양육은 '대체 고기'를 넘어, 지속 가능한 식량 시스템을 구축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인류의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참고 자료 및 논문:

1. MarketsandMarkets. (2023). *Cultivated Meat Market - Global Forecast to 2028*. (시장 조사 보고서)

2. The Good Food Institute (GFI). (2023). *State of the Industry Report: Cultivated Meat*. (매년 발간되는 보고서, 최신 자료는 GFI 웹사이트 참조)

3.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3). *USDA and FDA Announce Joint Regulation of Cultivated Meat*. (공식 발표 자료)

4. GOOD Meat. (2023). *GOOD Meat's cultivated chicken cleared for sale in the U.S.* (기업 보도자료)

5. Mosa Meat. (공식 웹사이트 및 기업 백서).

6. Aleph Farms. (2023). *Aleph Farms Receives World's First Regulatory Approval for Cultivated Steak*. (기업 보도자료)

7. SeaWith. (공식 웹사이트 및 관련 언론 보도 자료). (예: "씨위드, 해조류 기반 배양육 상업화 박차").

8. CellMEAT. (공식 웹사이트 및 관련 언론 보도 자료). (예: "셀미트, 미세조류 활용 배양육 기술 개발").

9. Specht, L. (2020). *An Introduction to Cultivated Meat*. The Good Food Institute.

10. Post, M. J. (2023). Cultured meat: An ethical and sustainable alternative to traditional meat production. *Meat Science*, 203, 109260. (최신 연구 동향)

 

※ 이 글은 배양육 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언급된 사례는 기술적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용입니다. 특정 기업, 제품, 서비스에 대한 권유 또는 보증의 의도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